반응형
아침에 일어날 때 내가 어딨는지 까먹을 때가 종종있다. 이는 잠에서 깨고나면 한동안 정신을 못차리기 때문일 것이다. 집인 줄 알았는데 군대 생활관이었을 때 얼마나 절망적이었는지. 또한 집이 아닌 아무도 없는 동아리방에서 혼자 일어날 때면 매우 허무하면서도 외로워 빨리 집으로 가는 아침 지하철을 탄다. 이런 현상은 대게 주변 상황이 급격하게 변할 때 일어나는데, 여행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대신, 집인 줄 알았는데 잠에서 깬 직후 비몽사몽하며 맡게 되는 이국적인 냄새. 새로운 광경을 보게되면 그 순간 내가 타지에 있음을 실감하게 되고 내가 왜 여기에 있는지에 대한 그 동안의 여정이 떠오름과 동시에 이것이 꿈이 아니라 사실임을 깨닫는다. 그제서야 내가 일상에서 벗어나 한동안 여행만을 목적으로 살 수 있다는 ..
히드로에서 짐을 찾고 런던으로 갈 방법을 선택해야 했다. 지하철, 버스, 택시 등등.. 우선 택시는 선택지에 없었다. 내 열정여행과 거리감 있는 금액을 요구했기에.. 버스 역시 번거로울 것 같아 포기. 고속열차는 비쌌고 결국 답정너인 일반열차를 타기로 했다. 도쿄에서도 나리타에 갈 때 일반열차를 타면 한시간 반정도 걸렸던 것 같다. 그래서 여유있는 분들이 타는 고속열차를 바라보며 부러움 가득 찬 시선을 보냈다. 그런데 영국에서도 어김없이 같은 선택을 하네? 언제쯤 가성비에서 탈출할 수 있을까.. 여행 준비를 하며 블로그 포스트를 보는데 일반열차는 시간이 타 운행수단에 비해 오래걸리며 승차감도 매우 좋지 않아 가급적이면 피하라고 했다. 살짝 걱정이 됬지만 두돈반 후탑보다는 편하지 않겠냐며 무시하기로 했다...
나름 아시아 동쪽에서 유럽 서쪽까지 가는 장거리 비행이었는데 생각보다 소형기종이었다. 해외에 갈 때 내심 중국항공 경유를 자주 했기에 은연중에 한국인을 찾아내는 버릇이 생겼다. 가장 편한 방법으로는 외양이 되겠다. 헤어스타일, 패션 정도면 충분. 나이드신 중년 분들이야 차이가 명확한데 젊은 층일 수록 점점 분간하기가 힘들어진다. 이럴 땐 비행기 타기 전 사람들이 들고있는 여권 색깔로 알 수 있다. 중국, 일본은 빨간색. 한국, 대만은 초록색. 그래서 이역만리 타지에서 젊은 분이 한국인 같고 초록 여권을 들고 있으면 괜시리 반가운 마음이 들었던 것 같다. 목적지가 런던이라 그런건지 아니면 조식이라 그런건지 정말 중국스러운 English Breakfast가 나왔다. 분명 비행기 티켓 가격이 55만원대였음에도..
3학년 1학기를 마치고 본격적으로 코딩 테스트나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했어야 했는데 정작 나는 열심히 책을 읽고 좀 더 젊을 때 할 수 있는 경험들에 집중했던 것 같다. 이제 대학에서도 결코 젊은 나이도 아니었고 집에서의 눈치도 봐야했기 때문에 편한 마음은 아니었음에도. 그치만 방학동안 친구들과 짧게 다녀왔던 오키나와에서 외국인들과 대화하며 놀았던(?) 경험은 매우 신선해서 좀더 그들을 이해하고 친해지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자연스레 개강이 한 달 남은 시점에서 유럽 계획을 짜기 시작했고, 에어차이나에서 당장 2주 뒤에 런던in - 파리out이 55마넌에 매우 싸게 나왔기에 일사천리로 밀어붙였다. (이런 자세로 좀 공부하지...) 여행 경로는 인천 -> 북경(17시간) -> 런던 -> 에딘버러 -..